X
X
  • 접속서버 : | 마이페이지|결제하기|1:1문의


아이디가 있는분은 로그인을 누르시고,
소셜아이콘을 누르면 자동가입&로그인 됩니다

  • 기출자료
    • -전체보기-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학습자료
    • -전체보기-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인기메뉴
    • 회원정보보기(수정)
    • 선생님인증
    • 에어드랍1(지갑등록)
    • 에어드랍2(지갑출금)
    • 나의 결제내역
  • 게시판
    • 통합게시판
    • 과외선생님등록
    • 과외학생등록
  • 저작권
    • 금칙어 등록
    • 저작권파일 등록
    • 저작권 신고자료
    • 나의 저작료보기
    • 날짜별적립금
    • 자료별수익금
    • 지급정보
  • 마이페이지
    • 나의 정보보기
    • 내정보수정
    • 선생님인증
    • 결제내역
    • 나의활동로그
    • 캐쉬->가루 전환
    • 탈퇴하기
  • 결제하기
    • CP구입
    • VIP이용권
    • 서포터즈 후원
회원가입 |  ID/PW찾기

학습자료

  • 유치원
    • 공통
  • 초등학교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5학년
    • 6학년
    • 공통
  • 중학교
    • 1학년
    • 2학년
    • 3학년
    • 공통
  • 고등학교
    • 과학관련
    • 국어관련
    • 기타과목
    • 논술대비
    • 사회관련
    • 수능대비
    • 수학관련
    • 실업계
    • 외국어관련
  • 대학교
    • 공학
    • 기타
    • 예체능
    • 의학
    • 인문사회
    • 자연과학
  • 자격증
    • 공과
    • 기타
    • 언어
    • 컴퓨터
  • 공무원
    • 간호,보건,수의
    • 경찰,검찰,교정,군무
    • 공통과목
    • 교육,사서,소방
    • 기계,토목,건축
    • 기타
    • 농.축.수산,임업
    • 전기,전산,통신
    • 행정,세무,복지
  • 임용고시
    • 교육학
    • 유치원
    • 중등ㄱ_ㅅ
    • 중등ㅇ_ㅎ
    • 초등학교
    • 특수학교




학습자료

    1차분류: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자료번호 No. 21141, 자료분류 : 고등학교 / 기타과목 / 미술 / 공통학기  
자료제목 고2 교학사 미술 정리     

[SA][고2]미술(교학사)_공통학기_요점정리#184d5kp3_21141.hwp저장1저장2 (184.5 KB)

자료평점 1

  • 5 최고
  • 4 좋아
  • 3 보통
  • 2 별로
  • 1 비추
  • 최악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면 자료신고를 하거나 저작권센터에서 저작권 보호신청을 하세요.

첨부파일
미리보기

근·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화의 형식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원래 그림과 글이 한데 어우러진 것이 우리나라 전통회화(문인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글의 내용은 좋은 문장이나, 시, 편지, 그림에 대한 설명 등이 씌어있다

1. 김정희의 부작란도(不作蘭圖

작가 : 김정희(1786~1856 / 조선시대)

▒ 작품명 : 부작란도(不作蘭圖) (수묵 / 개인소장)

▒ 크기 : 55×30.6cm

▒ 그림속의 글 읽기

부작란도는 본문의 내용 중 "不作蘭花二十年~"에서 그림의 제목이 정해졌다. 추사체로 씌어진 글들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중 때문에 서예작품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도장이 화면에서 거슬릴 정도로 많이 찍혀있는데 음각이 여덟 개, 양각이 일곱 개로 화가가 찍은 것도 있지만 나중에 소장가가 찍었던 도장 (수장인)들은 많은 아쉬움을 갖게 한다.

 

화면 위쪽>

不作蘭花二十年 偶然寫出性中天閉門覓覓尋尋處 此是維摩不二禪 若有人强要爲口實 又當以毘耶 無言謝之 曼香

▶ 난(蘭) 그림을 그리지 않은지 20년, 우연히 하늘의 본성을 그려냈구나. 문을 닫고 깊이깊이 찾아드니, 이 경지가 바로 유마의 불이선(不二禪)일세. 어떤 사람이 그 이유를 설명하라고 강요한다면 마땅히 비야리성(毘耶離城)에 살던 유마가 아무말도 하지 않았던 것 같이 사절하겠다.만향.

 

이 화제를 통해서 우리는 추사가 자기의 난초 그림을 불이선(不二禪)에 견주고 있음을 알게 된다. ‘불이(不二)’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유마힐소설경 維摩詰所說經》 제9 입불이법문품(入不二法門品)에 나온다. 특히 ‘불이’에 관한 문수보살과 유마거사 간의 문답은 승려가 아닌 선비들에게도 깊은 감동으로 받아들여졌던 대목이다. 유마가 "절대 평등한 경지에 대해 어떻게 대립을 떠나야 그것을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질문을 던졌다. 문수가 대답하기를 "모든 것에 있어서 말도 없고, 설할 것도 없고, 나타낼 것도 없고, 인식할 것도 없으니 일체의 문답을 떠나는 것이 절대평등, 즉 불이(不二)의 경지에 들어가는 일이라 생각한다." 이렇게 말하고 나서 문수는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유마에게 물었다. 이때의 상황을 경(經)에서는 "유마는 오직 침묵하여 한마디도 입을 열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파일설명
교학사 미술 정리
장밋빛향기님의 최근자료 장밋빛향기님의 인기자료
[문학]독을 차고 김영랑
[미적분]10가나 핵심정리
[[기타자료]]속담정리입니다
[논술]고려대 2005정시 논술 기출문제
[경제지리]2005년 10월 고2 전국연합 경제지리
[한국지리]고1~지리도시체계
[국어]고1 국어 허생전
[국어]고1 국어 역사앞에서
[사회]지역개발과 환경
[사회]환경과 지역갈등
댓글도우미(-10가루) GPT가 대신써드려요.(누르고 5~10초 기다려주세요)


이용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카카오상담 : 아이티치포유 검색 |오늘접속자 21,438 / 169,413

고객센터 : 카카오톡 > 친구추가 > ID로 추가 > iteach4u 추가해서 상담
카카오상담채널 추가: https://pf.kakao.com/_xjxaLdj/chat   mail : www.iteach4u.kr@gmail.com
Copyright By 아이티치포유.(구)교사수업연구모임. Since.2004.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