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 중 2 국어 1단원문제3
접속서버 :
학습자료실_40  |   |   |  1:1문의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아이티치포유 로그인

아이디
비번
회원가입     자동로그인

서브메뉴
전체자료보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자격증
공무원
임용고시


이 자료실은 일반 학습자료를 탑재하는 곳입니다.
학교 기출문제는 기출자료실 에서 업로드/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내수입보기 | 수익출금 | 회원순위

학습자료
  
자료번호 22709
자료분류 중학교 / 2학년 / 국어 / 1학기
제목 중 2 국어 1단원문제3         
자료점수
[중2]국어_2007_1학기_중간고사대비(문학작품의감상03)#57d5kp7_22709.HWP(Size:57.5 KB)
다운로드3

5
첨부파일
미리보기

1. zb다음 중 문학 작품 감상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같은 문학작품이라 할지라도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감상될 수 있다.

②사람마다 문학 작품 감상이 다른 이유는 경험이나 관심사,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③문학작품을 감상할 때에는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상상해보는 것이 좋다.

④작품을 감상한 후에는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⑤자기만의 감상이 흐려질 수 있으므로 다른 독자의 감상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이 좋다.

 

 

2. zb다음 글에서 ㉠, ㉡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문학 작품 읽기는 문학 작품 이외의 글읽기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문학 작품 읽기의 특성은 문학 작품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근본적인 특성인 ‘( ㉠ )’와 ‘( ㉡ )’에 기인한다.

문학 작품의 첫 번째 특징은 ‘( ㉠ )’이다. 보통 글들은 대개 말하고자 하는 바가 쉽게 드러나도록 직설적으로 말한다. 이에 비해 문학 작품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직접 말하지 않고, 비유를 사용하거나 이야기로 만들어서 돌려 말한다. <중략>

문학 작품의 두 번째 특징은 ‘( ㉡ )’이 많다는 점이다. 문학 작품에서는 “한 마리의 노랑나비가 되고 싶다.”라고 말하면서, 왜 하필이면 노랑나비가 되고 싶은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콩쥐가 사는 동네가 어떤 곳인지, 흥부의 아이들이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해서도 말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읽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이런 빈 부분을 스스로 채워 넣어 가며 읽어야 한다.

 

 

3. zb다음 중 ‘개미와 베짱이’라는 이야기에 대해 ‘비판적 측면의 감상’을 한 사람은?

①혜원 - 개미는 여름 내내 열심히 일을 하여 겨울 식량을 미리 준비하지만, 베짱이는 일은 하지 않고 노래만 불러.

②소정 - 그래서 베짱이는 겨울이 되면 개미를 찾아가 식량을 구걸하게 돼.

[자료설명]
댓글은 아이티치포유 2017(공식홈)에서 작성가능합니다.바로이동하기
연관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