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신 정변
① 원인
㉠ [무신에 대한 차별 대우] → 문신 위주의 정치에 대한 불만
㉡ 낮은 대우와 각종 잡역에 시달린 [하층 군인들의 불만]
② 과정 : 의종과 문신 사이의 정치적 갈등 → 의종의 방탕한 정치, 백성의 노역 동원
③ 경과 : [정중부의 정변(1170)] → [문신 제거, 정권 독점] → 무신 내의 내분으로 정중부 피살
④ 문신 세력의 저항 : 김보당의 의종 복위 운동 실패
⑤ 최고 권력자의 변천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천민출신)] → [최충헌]
⑥ 최고 권력 기구 : [중방]
2) 최씨 정권의 성립
① [최충헌] : 이의민 제거, 이후 4대 [60여 년간] 최씨 정권 지속 → 전형적인 무신 정권
② 최고 권력 기구 → [교정도감(정책 집행)]
③ 최고 권력자 → [교정별감(국가 중요 정책 결정)]
④ 군사적 기반 → [도방]과 [삼별초]
⑤ 인사 행정 처리 → [정방](최우 때 설치)
(3) 무신 정권기에 농민과 천민의 저항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된 까닭은?
1) 저항 운동의 배경
① [지나친 조세], 고리대나 권력으로 [토지 강탈] → [농민의 유민화, 도적화]
② [무신 정권의 수탈] 극심 → 신분 질서의 동요 → 많은 세금과 부역으로 인한 특수 행정 구역 주민들의 반발
2) 농민과 천민의 봉기
① [조위총의 난] : 서경에서 무신 정권에 저항 → 서북 일대의 대규모 봉기 계기
② [공주 명학소의 난] : [망이, 망소이] → 충청도 일대 장악
③ [김사미와 효심의 난] : 경상도 운문(청도)과 초전(울산) → 경주와 강릉 지역 연합
④ 삼국 부흥 운동 : 경주에서 신라, 서경에서 고구려, 담양에서 백제 부흥 외침
|